본문 바로가기
여행

정착, 생활환경 ! 싱가포르 유학 준비 체크리스트

by 포토매그 2025. 7. 9.

정착 & 생활환경 – ‘함께 살아보는 경험’의 토대 다지기

유학은 단순한 교육의 연장이 아닙니다.
이곳에서 하루를 어떻게 시작하고 마무리할 것인가, 이웃과 진짜 연결될 수 있을까. 작고 소중한 일상이 모여 새로운 삶의 방식이 완성됩니다.

 

 

 

1. 우리 집은 어디가 좋을까

 

학교 접근성 · 안전 · 커뮤니티를 기준으로 동네를 고르세요.

  • 등하교 중 아이의 이동 동선이 안전한지 확인
  • 단지의 CCTV 및 보안 시스템 검토
  • 한인 또는 자녀 또래 네트워크와 가까운 위치 선택

주택 유형별 안내:

  • HDB: 합리적 가격, 외국인 허가 필요
  • 콘도: 수영장 등 시설 완비, 월세 2,000–3,000 SGD 이상
  • 타운하우스: 단독 생활에 적합하나 절차 복잡

2. 교통은 어떻게 해결할까

  • MRT: 주요 교육 지구 연결
  • 버스: MRT 닿지 않는 곳까지 촘촘한 노선망
  • 그랩: 비상 시 편리하지만 비용 변동 있음
  • 도보/자전거: 근거리 이동 시 유용

초등학생이 MRT를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, 출발 전에 함께 연습해보면 좋은 경험이 됩니다.


3. 정착비용 & 생활비는 얼마나 들까

아래 계산기를 통해 SGD → KRW 환산 금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해보세요.



≈ 원화: 980000 KRW (환율: 1 SGD = 980 KRW 기준)

초기 정착비 예시 (1개월 기준)

항목 SGD KRW (예시)
보증금 + 월세 (콘도 기준) 2,500 2,450,000원
가전/가구 렌탈 200 196,000원
비자/등록비 600 588,000원

월 생활비 예시

  • 식비: 400–600 SGD
  • 교통비: 120–200 SGD
  • 통신비: 30–50 SGD
  • 기타(생활·교육비): 200–400 SGD

월 총합: 2,500–4,000 SGD ※ 환율 980원 기준: 약 245만 ~ 392만 원


4. 의료 & 보험

  • 공공 병원: 비용 저렴하나 대기 길고 외국인 제한 있음
  • 사립 병원: 빠르고 전문적이나 진료비 높음
  • 보험은 입국 전 국제보험 또는 현지 보험 가입 권장

5. 언어 적응 전략

  • Singlish 억양 적응 필요
  • 중국어 필수 과목인 경우도 있어 언어 다변화 대비 필요
  • 표현의 뉘앙스를 익히는 것도 중요

6. 커뮤니티 & 네트워크

  • 한인 커뮤니티, 학부모회, PTA 참여
  • 콘도 내 클럽 활동, 도서관 행사로 현지 적응
  • 초기 정서 안정은 관계와 연결에서 시작됩니다

마무리

유학은 정보가 아닌 살아낼 마음으로 준비해야 합니다.
이 글이 ‘가족의 하루’를 설계하는 데 따뜻한 안내서가 되길 바랍니다.

다음은 4화에서 공립학교 편입, AEIS, 한글 유지 등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.